2019년 5월 13일 월요일

Lung cancer

1. Approach to lung cancer 

1) 발견 

: 보통 우연히 CXR 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Mass-like lesion이 high opacity로 보인다.

2) CT 

: 종격동 내의 림프절이 커져있는지, 경계가 어떤지 등을 파악한다.

3) Biopsy

  (1) Sputum cytology : 이런 식으로 조직을 알아낼 수 있으려면, airway를 다 involve하지 않은 이상 힘들다 ! 예전에 이런 식으로 했었다.
  (2)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 외측이 있는 종괴는 이런 식으로 조직검사가 가능하다. 
  (3) Bronchoscopy : Centrally-located, EBUS로 lymph node biopsy. 
  (4) Video associated thoracoscopic surgery : 아예 폐 다 들어내면서 조직검사
  (5) Core needle biopsy : Lung cancer 의심 환자에서는, 반드시 supraclavicular node가 만져진다면 거기서 core-needle biopsy를 시행하는 것이 가장 덜 invasive한 approach이다. 

4-1) PET

: 찍어서 Extrathoracic mass를 확인해야겠다. 

4-2) Brain MRI

: 또한 폐암의 경우, 10~20% 정도가 진단 당시 brain metastasis를 동반하기 때문에 brain MRI도 routinely 같이 찍는다 
→ Oligometastasis의 개념 ! : 다른 전이 없고 뇌에만 하나 있으면, oligometastasis에 준해서 gamma-knife 치료를 brain metastasis에 대해 받고, 폐에는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5) Pulmonary function test 

: 폐 수술을 하기 위해 잔여 폐기능을 측정하게 된다. 
→ 기준 ? : FEV1/FVC, FVC, TLC

→ 기준 ? : FEV1 



2. Staging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1) TNM : 123457 ! 

2) Mediastinum lymph nodes


  (1) N1 : Ipsilateral하게 peribronchial, intrapulomnary 하면 
  (2) N2 : Ipsilateral하게 mediastinal, subcarinal 하면 
  (3) N3 : Contralateral하거나 ipsilateral supraclavicular하면 

2) Staging

3. Treatment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1) Stage IV : Metastasis가 있는 경우 

Palliative chemotherapy를 하거나, targeted therapy를 할 수 있다.

2) Stage I : T1a~T2a + N0

Surgery ! T2a의 요건은, 3~4cm, carina 침범 없이 main bronchus를 먹거나, visceral pleura 먹거나, post-obstructive pneumonitis / atelectasis 
  • 수술을 거부하거나, FEV1<1L 또는 Dlco<40% → Radiotherapy ! 

3) Stage II : T3 이내이면서, N1 or N2 

Surgery + adjuvant chemotherapy / Chemotherapy
  • 수술을 거부하거나, FEV1<1L 또는 Dlco<40% → Radiotherapy ! 

4) Stage IIIA 

  (1) Stage IIIA + Negative N2 or N3 : T3~4 + N0~1
  → Neoadjuvant chemoradiation + surgery
  (2) Stage IIIA + Positive N2 : T1a~2b + N2
  → Concurrent chemoradiation / Neoadjuvant chemoradiation 

5) Stage IIIB : T3~4 + N2 or Any T + N3

Concurrent chemoradiation / Chemotherapy 

6) Isolated pulmonary nodules (<5cm) + 수술을 거부하거나, FEV1<1L or Dlco<40%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4. Driver mutations in adenocarcinoma

1) ALK

2) BRAF

3) EGFR 

4) ROS1

5. Small cell lung cancer

1) Staging : Radiotherapy의 field 안에 들어오는가의 여부 ! 

  (1) Limited stage : Contralateral supraclavicular node, Recurrent laryngeal nerve, SVC obstruction, Ipsilateral hemithorax에 국한 
  (2) Extensive stage : Overt distant metastatic disease, Caridac tamponade, Malignant pleural effusion, Bilateral pulmonary parenchymal involvement (모든 seeding은 metastatic disease라는 것을 기억!) 

2) Treatment 


  (1) Limited + T1이자 N0 !!
  → Lobectomy와 multiple lymph node dissection을 하고, platinum based adjuvant chemotherpay
  (2) Limited + T1이나 N0를 넘어감 !!
  → Combined concurrent chemoradiation → complete response를 하면, cranial irradiation !
  (3) Extended : Palliative chemotherapy

2019년 5월 12일 일요일

Syncope

1. Syncope에 대하여 

1) Definition 

 (1) Transient loss of consciousness due to transient global cerebral hypoperfusion
 (2) Characteristics 
    - Rapid onset
    - Short duration
    - Spontaneous complete recovery 

2) Problem and prognosis

  (1) 다칠 수도 있고, sudden cardiac death의 전구증상일 수 있음 
  (2) 심장의 문제로 syncope를 겪은 사람은 30%의 사망률을 보임 
  (3) High risk features indicating hospitalization 
  • High :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 심한 판막 질환 
    - 허혈성 심질환을 나타내는 흉통
    - 울혈성 심부전 증상 
    - 중등도에서 중증의 판막 질환 
    - 중등도에서 중증의 구조적 심장 질환 
    - 허혈성 심질환의 ECG     
  • Moderate : 주요 부정맥, 급사의 가족력 
    - 심실성 부정맥의 과거력 
    - 500ms 이상의 Prolonged QT interval
    - 반복되는 SA block 또는 sinus pauses 
    - 지속성 sinus bradycardia
    - QRS duration 120ms 이상의 심실내 전도 이상, 또는 다발갈래 차단 
    - 심방 세동
    - 심실 빈맥 
    - 급사의 가족력 
    - 조기흥분 증후군 (WPW syndrome)
    - ECG 상 Brugada pattern 
  • Mild : 두근거림, 운동, 휴식 
    - 실신 시 두근거림 
    - 운동이나 휴식 시 실신 

2. Causes of syncope

1) Neurally-mediated syncope = reflex or vasovagal syncope

  (1) Vasovagal syncope : sympathetic withdrawal (vasodilation) + parasympathetic activity (bradycardia)
    - 원인 : 너무 무섭거나, 아프거나, 피를 보거나 등등..
    - 증상 : 괄약근 기능은 유지, 창백, 위약감, 구역감 등등 ... 
    - 치료 
      * 다른 심장병이 없다면 sudden death의 위험은 적다는 것을 알려준다 
      * 올 것이라는 걸 알기 때문에 다리를 X로 꼬거나 손을 꽉 잡는 등 Counter pressure maneuver를 시행한다
      * Salt and fluid intake 
      * Midodrine으로 혈압 상승 
  (2) Situational reflex syncope 
    - 원인 : 기침, 소변보고 나서, 전립선 마사지, DRE, Carotid sinus massage 등등..

2) Orthostatic hypotension

  (1) 정의 : Syncope + orthostatic hypotension (SBP가 20mmHg 이상 낮아지거나, 90mmHg 밑으로 떨어지는 것) 
  * 일어난 지 3분 이내에 ! 
  (2) 원인 : 5가지 !
    - Primary autonomic failure (neurodegenerative disease) : Parkinson's disease 
    - Secondary autonomic failure (autonomic peripheral neuropathies) : Diabetes 
    - Postprandial hypotension
    - Iatrogenic (drug-induced)
    - Volume depletion 
  (3) 치료 
    - Neurogenic : Acute water ingestion → Midodrine
    - Drug : 끊어 
    - Dehydration : Acute water ingestion → Increase salt and fluid intake 

3) Cardiac syncope 

  (1) 원인 : 2가지 ! 
    - Arrhythmia
    - Cardiac structural disease : Outflow의 저해 

3. Approach 

1) 정말로 실신했는지 알아내야해 ! 

  (1) 의식을 잃었나 ? 
    - Falls 
    - Altered consciousness 
    → 의식을 잃은 것은 아니다 
  (2) 짧게 겪고, 스스로 회복했나 ?
    - Coma
    - Aborted SCD 
    → Transient / rapid-onset / short duration / spontaneous recovery가 아님
  (3) Non-traumatic 한 이유로 의식을 잃은 것이 맞나?
    - Syncope
    - Epileptic seizure
    - Psychogenic 

2) T-LOC 이고 Syncope가 의심된다면, 어떤 evaluation을 할까? 

  (1) History : 정말 syncope를 경험한 것이 맞는지 ! 
    - 심장 질환의 병력이나 가족력이 있나?
    - 실신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먹었나?
    - 이전에도 경험한 적이 있나?
    - 자세를 포함한 유발 인자가 있었나? → Supine, sitting or standing 
    - 전구증상이나 회복후 증상이 있었나? 
    - 주변에서 본 사람이 있나? 
  (2) 중요한 history 
    - Neurally-mediated 
      심질환 없음 ! 
      Head rotation이나 carotid sinus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오랜 병력이 있을 때 
      구역감이나 구토를 경험함
      특징적인 많이 겪는 요인들
    - Orthostatic hypotension
      일어나고 나서 ! 
      파킨슨 병이나 autonomic neuropathy를 갖고 있을 때 
      저혈압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하기 시작했거나 용량이 변할 때 
      운동 후에 
    - Cardiac 
      심각한 구조적 심질환이 있을 때 
      급사의 가족력이 있을 때 
      흉통을 동반하거나 두근거림이 있었을 때 
  (3) Head up tilt test 
    - 60~80 도 사이에서 30~45분 간, 70도로 가장 흔하게 시행 
    - 특이도는 높지만 민감도는 조금 낮음 
    - Indication : Recurrent syncope가 있거나, 1번 있었어도 high-risk 인 경우 ! 물론, 구조적 심질환이나 다른 원인은 배제가 되어야겠다. 운동과 연관이 있는 실신을 한 경우에도 시행을 해보아야겠다.  
  (4) 부정맥으로 인한 실신이 의심되는 경우 : Holter, event, implantable loop recording
  (5) 심질환으로 인한 실신이 의심되는 경우 : ECG, treadmill, coronary angiography 

원내 감염 관리

1. 표준주의 : 모든 환자에게 적용 

: 병원 내에서 감염원으로 인지되거나 인지하지 못한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안 

1) 손위생

  (1) 언제 ? 
    - 환자 만지기 전
    - 환자 만진 후
    - 깨끗한 시술 전 
    - 체액 만진 후 
    - 주변 만지고 난 후 
  (2) 눈에 보이는 오염물질이 있는 경우, 물과 비누 혹은 물과 소독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는다. 
  (3) 아포 (C.difficle)과 접촉했을 경우물과 비누 또는 물과 소독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싯는다. 알코올, 클로로헥시딘, 아이오도퍼를 비롯한 피부 소독제는 아포에 효과가 없다, 
  (4) 손소독제의 비교
    - Alcohol : 작용 속도는 빠르지만 짧은 지속 기간. 눈에 보이는 오염물이 없을 때
    - Chlorohexidine : Mycobacteria 와 fungi에 약하다. 손에 물을 적시고, 1펌프 손에 덜어 거품내어 손 모든 부위 문지른 후 헹구고 종이타월로 건조. 
    - Iodine compounds : 피부에 자극이 크고, 느리게 작용하지만 길게 지속된다. 

2) 개인 보호구 

  (1) 언제 ? : 혈액이나 체액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착용, 벗으면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2) 장갑, 가운, 마스크, 고글, 안면보호대 
  (3) 다 벗고 반드시 손위생 

3) 기침 예절 

: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 

4) 안전한 주사 행위 

: 주사바늘 / 캐뉼라 / 주사기는 한 번만 사용해야 한다. Multi-dose vial은 멸균된 제품으로 이용하지만 single-dose vial은 한 번 사용했으면 나머지 버려야 한다. 

5) 직원 안전 (혈액매개질환의 노출로부터 보호)

: 요추 천자시술을 할 경우,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한다. 

6) 환경 / 린넨 관리 

2. 전파 경로별 주의 

1) 접촉주의


  (1) 해당 질환  
    - 다제 내성균 ex. MRSA, VRE 
    - 옴 (scabies)
    → 5% Topical permethrin + PO ivermectin 
    - Parainfluenzae virus 
  (2) 격리 방법 
    - 가능하면 1인실, 동일한 병원균에 감염되었거나 보균할 경우 동일한 병실에 코호트 
    - 가능하면 환자의 이동을 제한
    - 환경 관리 
  (3) 보호구 
    - 개인 보호구 : 장갑, 가운 (환자마다 교환)

2) 접촉주의 +

  (1) 해당 질환  
    - C.difficile 
    - Norovirus / rotavirus 
    → continuous diarrhea 
  (2) 격리 방법 
    - 50배 락스로 병실 청소 (매일 환자 주변 락스 100배 희석액으로 청소) 
  (3) 보호구 
    - 접촉주의 + 물과 비누 손위생 

3) 비말주의

  (1) 해당 질환 : 호흡기 비말 (5um 이상 큰 비말)이 기침, 콧물 혹은 대화할 때 전파할 우려가 있는 환자들을 대상   
    - Influenza
    - N.meningitidis
    - Pertussis 
    - Invasive H.influenzae B 
    - Invasive variable resistant pneumococcus
    - Mycoplasma pneumonia
    - Scarlet fever (s.pyogenes)
    - Adenovirus
    - Mumps
    - Parvovirus B 19
    - Rubella  
  (2) 격리 방법 
    - 가능하면 1인실 배치, 안되면 코호트 
    - 90cm 유지, 커튼 (droplet 이므로 1m 넘게 유지해야함) 
  (3) 보호구 
    - 환자 병실에 들어갈 때 수술용 마스크 착용 

4) 공기주의

  (1) 해당 질환 : 5um 미만 작은 비말이 공기의 흐름을 타고 먼 거리를 이동하여 전파하는 감염원 
    - 활동성 결핵
    - 홍역
    - 수두
    - 천연두 
    - 파종성 대상포진 
  (2) 격리 방법 
    - 음압 격리실 (-2.5Pa)
  (3) 보호구 
    - N95 mask (최대 24시간 까지 사용 후 교체)

5) 보호주의 

  (1) 해당 질환 :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환경에 있는 진균으로 부터 노출을 줄이기 위하여
    -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
    - 호중구 감소증 환자 (ANC <500)
    - HIV : CD4+ 200 이하 
  (2) 격리 방법 
    - 병실 문 닫기 
    - 무균실 : 12회 이상의 공기순환, 양압 유지 
    - HEPA filter 
    - 카페트 / 생화 / 식물 / 동물 모두 금지 
  (3) 보호구 
    - 외과용 마스크 

3. 주사침 찔림사고 예방 

1) 초 처치

  (1)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한 상처와 피부는 물과 비누로 씻고, 점막은 물로 씻어내야 한다.
  (2) 환자의 병명 (간염 / 간경화 / 간암 / 에이즈 등)을 확인하고, 환자의 혈청 검사결과를 확인 (HBsAg/HBeAg, HCV Ab, HIV Ab)
  (3) 노출 보고 (직원 의무실, 외래, 응급실) 

2) 질환별 

  (1) B형 간염

  (2) C형 간염 
: 노출 후 anti-HCV, ALT, 추적검사 4~6주 뒤 HCV RNA, 4~6개월 뒤 anti-HCV, ALT
  (3) HIV 
: 경피적 노출 후 전파 위험 0.3%, 점막 노출 후 0.09% 
노출 후 72시간 이내에 반드시 항레트로 바이러스제 투여. 노출 시, 노출후 6주, 12주, 6개월에 HIV 항체 검사 ! 

2019년 5월 7일 화요일

Glomerulonephritis

1. Pathogenesis 

1. 면역학적 손상 

1) Antibody-mediated injury : immune complex formation (=antigen-antibody formation)

  (1) In situ immune complex : 자가 면역으로 인한 endogenous antigen (self antigen)에 대한 항체 형성. 
  (2) Circulating immune complex : Exogenous antigen에 대해 immune complex를 생성. 여과하는 압력으로 인해 특히 사구체에 침착이 잘 된다.

  → Immune complex의 형성 시, 이것은 "Complement"를 활성화 시키고 그에 따라 "Inflammatory cells" 를 불러 들이게 된다 ! C3, C5a 같은 anaphylotoxin이 염증세포를 불러모으게 하고, C5b-9는 세포막을 공격한다. 

2) Deposition of immune complex 

  (1)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의 양 
  - 항원 < 항체 : 면역복합체가 너무 커서 곧바로 RES system에 의해 제거
  - 항원 > 항체 : 면역복합체가 작아서 조직에 쉽게 침착이 안되고 신장에서 걸림. 따라서 항원 항체의 비율이 평형을 이루거나, 항원이 약간 과대인 상태에서 형성된 면역복합체만이 조직에 침착되어 사구체 신염을 유발. 
  (2) 침착되는 위치 
  • Subendothelial deposit
    - C3, C5b의 보체 활성화로 인해 염증 세포가 모여들게 됨
    - Proliferative GN
    - Nephritic type injury 
  • Subepithelial deposit  
    - Size가 작고 positive charge → 기저막 통과 가능함 
    - 그러나 염증세포는 기저막을 통과할 수 없음. 따라서 기저막을 통과 가능한 보체의 활성화에 의해 유발, 따라서 C5b-9 (membrane attack complex)가 중요한 역할 !
    - Non-proliferative GN
    - Nephrotic type injury 
  • 손상 부위에 따른 임상 및 병리 소견

3) Cell-mediated injury

: Soluble factor from T cell
  - primary FSGS
  - MCD 
  - Idiopathic pauci-immune disease 

4) Activation of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 C3 nephritic factor가 C3 convertase를 안정화하여 교대성 보체 회로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일으킨다. ex. MPGN 
  • 혈중 보체가 감소되는 질환 : 특히 C3 ! Classic pathway의 항진 
    - SLE
    - Poststreptococcal GN
    - Cryoglobulinemia
    - MPGN
    -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 Shunt nephritis 
    - Mixed (Hepatitis C) 

5) Antineutrophilic cytoplasmic antibodies 

6) 사구체 손상의 매개 물질 

  (1) Complement
  (2) 다형핵 백혈구 
  (3) 단핵구 / 대식세포 
  (4) T/B lymphocyte
  (5) Platelet
  (6) Coagulation system activation
  (7) Intrinsic renal cells. (epithelial, mesangial, tubular cell 등). TGF-b, FGF 2, PDGF, HIF-1a 등에 의해 Epithelial - mesenchymal transition를 거쳐 fibroblast로 변화한다.  

2. 비면역학적 손상

1) 대사성 손상 : 당뇨

  (1) 당뇨병성 콩팥증 
  (2) Fabry's disease나 sialidosis에 의한 FSGS
  (3) Partial lipodystrophy에 의한 MPGN type II

2) 혈역학적 손상 : 고혈압

  (1) Systemic hypertension : Afferent arteriole / glomerulus의 fibrinoid necrosis, thrombotic microangiopathy
  (2) Glomerular hypertension : Nephron의 소실 → 나머지 nephron에서 workload의 증가 → Adaptive response ! 따라서 신장은 한 번 나빠지면 잘 회복이 안되고 계속 나빠진다. 

3) 독성 손상 : E.coli verotoxin, 약제

  (1) Hemolytic uremic syndrome : E.coli O157의 verotoxin
  (2) Thrombotic microangiopathy : Irridation, mitomycin, 피임약
  (3) MCD : NSAID, rifampin, ampicillin, INF-a 

4) 이상 단백의 침착에 의한 손상 : Amyloidosis

  (1) Cryoglobulinemia
  (2) Amyloidosis
  (3) Light / heavy chain disease
  (4) Fibrillary / immunotactoid glomerulopathy 

5) 감염성 손상 : Hepatitis B/C

  (1) 감염균이 사구체 세포를 직접 침입 
  : HIV nephropathy
  (2) 신독성 물질의 분비
  : HUS  
  (3) 면역 복합체의 형성으로 사구체에 침착 
  : PSGN, Hepatitis B/C 
  (4) 만성 감염으로 인해 amyloid fibril의 형성 
  : 결핵 / 골수염에 의한 AA amyloidosis 

6) 유전성 손상 : Alport's syndrome 

  (1) NPHS1 & NPHS2 :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2) Type IV collagen의 a3, a4, a5 chains : Alport syndrome
  (3) PPARr, lamin A/C : Partial lipodystrophy → MPGN
  (4) a-galactosidase A deficiency : Fabry's disease 
  (5) N-acetylneuraminic acid hydrolase : Nephrosialosis → FSGS 
  (6) TRPC6 cation channel : FSGS

3. Nature 

1) Nephritic vs nephrotic

  (1) Nephritic : 염증에 의해 모세혈관 벽이 무너지고 혈뇨가 발생 ! 
    - 염증 O → Proliferative 
    - 단백뇨 (1~2g/24hr, ↓)
    - 혈뇨, RBC cast
    - 고혈압
    - 신기능 감소
    - -GN ! : PSGN, MPGN,MsPGN, Lupus nephritis, IgA nephropathy, Crescenteric GN, Vasculitis

  (2) Nephrotic : Podocyte의 filtration barrier가 무너지며 permeability가 증가 ! 
    - 염증 X → Non-proliferative 
    - Nephrotic range의 단백뇨 (3.5g/24h ↑)
    - Minimal change, FSGS, MN, DM nephropathy, Amyloidosis 

    - Foamy urine
    - Primary renal Na+ uptake, hypoalbuminemia에 의한 edema
    - Albumin 보충을 위해 hepatic synthesis의 증가 → Hyperlipidemia
    - Hypercoagulable state : 혈관이 막혀서 collateral vein의 형성 
    - Hypertension
    - Urinary loss of other protein : Thyroxin binding globulin, cholecalciferol binding protein, transferrin, antithrombin III, IgG,, 

2) 신증후군의 진행 

  (1) 신손상
  ↓→ Immunosuppressive therapy, plasmapheresis
  (2) 뇨단백 
  ↓→ Ace inhibitor, NSAID (GFR의 감소)
  (3) 저알부민 혈증에 의한 oncotic pressure의 감소
  ↓→ 알부민의 투여 (일시적임. 그러나 이뇨제가 알부민에 붙어서 갈 수 있음)
  (4) 고지질 혈증
  ↓→ HMG-CoA reductase inhibitor
  (5) Aldosterone의 증가
  ↓→ Spironolactone
  (6) Sodium and water retention
  ↓→ 저염식, 염분의 제한
  (7) Edema 
  → 이뇨제 치료, 특히 furosemide ! 제한된 경우에서 Hemofiltration도 가능. 

3) 사구체 신염의 진행 

  (1) Classification  
    - 급성 : Diffuse inflammation (Diffuse proliferative)
    - 아급성 : Crescent formation (RPGN)
    - 만성 : Chronic inflammation (Sclerosing)
  (2)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 과정
    - GN에서 proteinuria가 일어나며 tubular cell을 자극하여 손상시킴. Angiotensin II에 의해서 허혈증상도 일어나고 사구체 자체에서 cytokine과 growth factor를 분비하기도 함.
    - 그에 따라 tubulointerstitial nephritis가 발생한다 ! TI nephritis가 발생하면 사구체 내에서 고혈압이 발생하고 간질이 섬유화된다. 그에 따라 주변 모세혈관에 손상도 일어난다. 
    - 사구체에서 세뇨관 및 간질의 손상이 이어지고, 그에 따라 신부전이 발생한다 ! 

2. Clinical apporach and classification

1. Proteinuria with/without microscopic hematuria 

1) Age & medical history : 가장 먼저 의심 !

  (1) 어린 애가 부종으로 왔다 ? : MCD 부터 고려
  (2) 성인인데 당뇨병이 얼마 안 됐다? : 당뇨병에 의한 것은 아니겠지 

2) Nephrotic syndrome vs. Nephritic syndrome

3) Serologic evaluation

  (1) C3 / C4 / CH50 
  (1) Lupus nephritis 가 의심? : ANA → anti-ds DNA
  (2) Vasculitis 가 의심 ? : ANCA 





2. Gross hematuria 

1) Hemoglobinuira와 myoglobinuria의 감별 

  (1) Hemoglobinuira : 혈청이 빨갛고, 혈액에서 plasma Hb 증가, haptoglobin 감소, LDH 증가의 소견이 보일 것이다.
  (2) Myoglobinuria : 혈청이 깨끗하고, 혈액에서는 근육에 있던 CK 가 증가할 것이다. 

2) Extraglomerular hematuria와의 감별 

  (1) Glomerular : 검붉다. 피가 여과되며 tubule을 타고 내려오면서 met-hemoglobin이 되기 때문에. 사구체에서 여과되고 나서의 혈액에도 urokinase가 존재해서 blood clot이 잘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사구체를 빠져나오느라 RBC의 모양이 dysmorphic해질 것이다.

  → Glmoerulonephritis를 진단하기 위한 임상적 증상 3가지 !! 
    - Proteinuria > 1g/day
    : 정상적으로 GBM pore가 albumin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normal urinary albumin <30mg/day, protein <150mg/day 정도. Albumin 이외의 단백질은 b2-microglobulin 등 filter된 것일 수 있고, tubule에서 생성하는 Tamm-Horsefall / IgA / urokinase 일 수도 있다. 
    - RBC cast
    - Dysmorphic RBC 

  (2) Extraglomerular : 변화하지 않고 피가 그대로 나올 것이므로 선홍색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bladder cancer 등에서 blood clot이 있는 채로 나올 것이다.  
  • Urologic malignancy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

3) Gross hematuria from glomerular disease 

  (1) Urinary tract infection 이후에 ? 
    - IgA nephropathy : 인후염과 거의 동시에 ! 종종 1~2일 정도 앞서기도 함.
    - PSAGN : 인후염 이후에 10일 정도 뒤
  (2) Thin basement membrane disease
  (3) Alport's syndrome 
  (4) 운동 이후에? 
    - Renal ischemia
    - Angiotensin II의 항진으로 인해 사구체 내압이 높아져서 RBC가 모세혈관을 타고 나옴
  (5)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 몇 주에서 몇 달 내에 급속도로 ESRD로 진행하며, hematuria가 반드시 동반 된다. 병리적으로는, 사구체의 50% 이상이 crescent화 되는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가 관찰된다. 모든 사구체 신염은 다 이러한 crescent의 형성이 가능하다 ! 가장 중요한 기전은, glomerular basement membrane의 rupture이다. Rupture 되며 plasma가 새면서 세포들이 bowman's space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그러면서 macrophage도 침윤하고 fibrosis를 형성하게 되고 epithelial cell들도 증식하면서 crescent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초기에 steroid를 사용해서 정상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해야한다 ! 

3. Primary glomerulonephritis 

1. Light microscopic classification 

1) Minimal lesion : Minimal change disease

  (1) 역학 : 소아 신 증후군의 7~90%. 소아에서는 신 생검을 하지 않고 먼저 약물 치료한다. 
  (2) 원인 : 이차적으로 hodgkin's disease, NSAID 등에 의해 발생이 가능하다. 
  (3) 병리 소견 
    - LM : 정상. 이론적으로는 혈뇨나 소변의 globulin이 없어야 한다.
    - IF : 정상.
    - EM : Effacement of foot process 
  (4) 임상 소견 
  : 갑자기 신증후군과 함께 부종이 생긴다. Globulin 보다 albumin이 많이 빠지므로 이는 charge barrier가 손상 되었음을 의미한다. (GBM - = albumin -)  성인에서는 microscopic hematuria, hypertension 등 좀 더 심한 경과를 보인다. 
  (5) 치료 : Prednisolone 8주 치료 ! 반응 안하는 경우 다시 신생검 했을 때 FSGS로 판명 되기도 한다. 재발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2) Focal glomerular lesion :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1) 역학 : 성인 신 증후군의 1/3
  (2) 원인 : T cell mediated 기전으로 생각되어진다. 이차적으로 reflux nephropathy에 의해 생길 수 있고, 신장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도 hyperfiltration theory에 따라 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진다. 
  (3) 병리 소견
    - LM : FSGS 
    - IF : Non specific C3 / IgM 
    - EM : Effacement of foot process 
  (4) 치료 
    - Primary : RAAS inhibitor의 사용 ! ± Steroid 
    - Secondary : 기저 질환을 치료하고 임상적으로 단백뇨를 조절해줘야 한다. Steroid의 역할은 없겠지.  

3) Diffuse lesion

  (1) Membranous nephropathy 

  (1) 역학 : 성인 신 증후군의 30% 정도이고, 남자 / 3~50대가 흔하다. 
  (2) 원인 : M-type phospholipase A2 receptor (PLA2R)에 대한 항체가 생기는 것이 기전으로 생각되어진다. 그 외에, 암,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이 많다. 금, 수은, penicillamine 등의 약제에 의해서도 발생이 가능하다. 
  (3) 병리 소견 
    - LM : GBM에 균일하게 두꺼워진 소견을 보인다. 우리가 볼 때에는 모세혈관의 벽이 두꺼워진 것 처럼 보인다. 
    - IF : IgG와 C3의 사구체 침착이 보임.
    - EM : Subepithelial electron dense (spike formation) → Nephrotic type 
  (4) 임상 소견 
    - 주로 고령에서 호발하고, 암과 연관 
    - 80%에서 신증후군으로 발현
    - Thrombosis가 호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 
  (5) 치료 
  : 3g/day 이상의 지속적인 다량의 단백뇨가 나오는 경우에, RAAS inhibitor의 사용 ! ± Steroid . 적게 나오면 저절로 관해되는 경우가 많다. 

  (2)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1) 역학 : 드물다 
  (2) 원인 
    - Type I : Immune-mediated 
    - Type II & III : Autoantibody (nephritic factor) 가 혈청의 C3를 지속적으로 활성화 
  (3) 병리 소견 
    - EM : GBM이 mesangioproliferative change와 함께 두꺼워져 있다 ! 
    - Type I : Lupus, cryoglobulinemia, hepatitis C를 포함하여 가장 흔하다. Intragromerular mesangium에 침착되며 GBM 사이로도 들어가며  tram-tracking sign이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Lobular하게 나뉘어져서 mesangial proliferation의 소견이 보인다.  
  (4) 임상 소견 
    - 70%에서 혈 중 보체가 감소하는 소견을 보인다.
    - 단백뇨 및 혈뇨, 전신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 10년 뒤 50%는 ESRD가 된다. 
  (5) 치료 : RAAS inhibitor 



    - Mesangi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1) 원인 : 이차적으로, IgA nephropathy, P.falciparum malaria, resolving PSGN, class II lupus 등. 
  (2) 병리 소견 
    - LM : Mesangium에 cell이 많아지며 부피가 커진다 
    - IF : IgM, C1q, C3의 mesangial deposit 
    - EM : Mesangial immune deposit 

    -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 

  (1) 역학 : 전체 사구체 신염의 2~4% 정도. 치료로 신 기능을 정상화 혹은 호전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 및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2) 병리 소견 
    - 전체 사구체의 50% 이상에서 Bowman's space 내에 crescent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 macrophage infiltration). 반월체 자체의 형성은 다른 증식성 사구체 신염 / 혈관염 등에서 보일 수 있으므로, 전체 사구체의 50% 이상에서 관찰되는 경우로 정의 ! 
  (3) 임상 소견 
    - Dysmorphic RBC 
    - 신 기능이 급속하게 감소하는 경과를 보이는 신 질환을 통칭하는 임상 증후군이다 ! 
    - 임상적으로는 흔히, Rapidly progressive GN으로 불린다. 몇 주~몇 개월 이내에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4) 치료 
    - Plasmapheresis for 10~14days 
    - Pulse methylprednisolone for 3 days → Prednisolone po 1mg/kg/day로 시작해서 8주간 감량 
    - Cyclophosphamide도 2~3mg/kg의 용량으로 8주 


2. Immunofluorometric classification

1) IgA nephropathy 

  (1) 역학 : most common form of glomerulonephritis worldwide.
  * Berger's disease : IgA가 mesangium에 침착되면서 episodic한 혈뇨가 발생하는 병 
  (2) 원인 : 이차적으로는 HS purpura, lupus에 의해 생긴다. 사실은, liver cirrhosis, crohn's disease 등의 전신적 질환에서 사구체 염증 없이 mesangium에 IgA가 침착된 형태로 많이 발견 된다. 
  (3) 병인 : Galactose-deficient IgA1과 순환하는 anti-glycan antibody 
  
  * IgA1 dimer의 hinge region에는 원래 O-linked glycan이 있고, 이 glycan은 N-acetylgalactosamine + galactose + sialic acid로 구성된다. 이 때 galactose가 없는 IgA가 만들어지고, 따라서 이 glycan에 대한 antibody가 만들어지는 것 ! 

  (4) 병리 소견 
    - LM : Mesangium에 cell 들이 많이 보이고 부피도 커져있다.
    - IF : IgA 의 mesangial deposit이 dominant하다. 
    - EM : Mesangial immune deposit 
  (5) 임상 소견 
    - 향후 20~25년 간 신부전으로 25~30%가 빠진다
    - 이상하게도 혈뇨가 많이 나오는 것이 예후가 좋다. 단백뇨, 남자, 고혈압 등에서 예후가 나쁘다. 
  (6) 치료 : RAAS inhibitor ± tonsillectomy, steroid, fish oil 


3. Electron microscopic classification

1) Alport's syndrome

2) Thin basement membrane disease 

4. Secondary glomerulonephritis 

1. 면역학적 기전 

1) SLE

  (1) Lupus nephritis : SLE 환자에서 감염, 중추신경계 병변과 더불어 주된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SLE 환자 중 50~80%의 환자들에게서 신장이 침범된 소견을 보인다. 
  (2) Definition : 하루 0.5g/day 이상의 지속적인 요단백이나 소변 stick 3+ 이상, 또는 cellular cast의 존재. 
  (3) 진단 : Renal biopsy는 진단보다는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 Specific ? : Anti ds-DNA, Anti Sm
    - Sensitive ? : ANA 
    - Follow up ? : Anti ds-DNA, 혈중 보체 (감소 안하면 좋아지고 있네), 기타 임상적 검사 (GFR, 단백뇨, urine sediment activity), Hematoxylin body, LE cell,,
  (4) LM classification : 여러 종류의 antibody가 나오기 때문에 그에 따라 침착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 Class I : Minimal
    - Class II : Mesangial proliferation
    - Class III : Focal nephritis
    - Class IV : Diffuse nephritis
    → 가장 흔하고, 예후가 나쁘다 ! 

    - Class V : Membranous nephritis 

    - Class VI : Sclerotic nephritis 
  (5) 예후 → Scoring system
    - Activity index : 세포 증식, 백혈구 침윤, 괴사, 세포성 반월, 내피하 침착, wire loop
    → 막 병변이 악화되고 있으므로 염증을 빨리 억제해야겠다.
    * Wire loop? : immune complex가 너무 많이 침착되어서 subendothelial loop가 형성되어 보이는 현상 


    - Chronicity index : 세뇨관 위축, 간질 섬유화, 섬유성 병변, 사구체 경화
    → 이미 나빠진 상태이며 억제해도 소용이 없다. 결국에는 다 투석을 한다.  
  (6) 치료 
  • Acute phase : induction therapy 
    - 급하면 plasma exchange 먼저 
    - Corticosteroid : Methylprednisolone IV 1.0g for 3 days (IV pulse therapy) 
    - Cytotoxic agent : Cyclophosphamide (B cell 억제) / p.o mycophenolate mofetil 
  • Chronic phase : maintenance treatment
    - Corticosteroid : 5~15mg/day for 3~5years로 줄여나가기 
    - Cytotoxic agent : Cyclophosphamide, azathioprine, mycophenolate, cyclosporine
  • 기타
    - IVIG
    - Total lymphoid irradiation  

2) Goodpasture's syndrome 

  (1) 병인 : Type IV collagen에 대한 자가면역 질환. RPGN 과 폐 출혈이 일어난다. (lung에도 basement membrane에 type IV collagen이 있으므로) 
  (2) 증상 : 젊은 연령층에서 폐출혈과 사구체 신염이 발생. Type IV collagen 중 a-3 chain에 대한 항체가 생긴다.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다 ! 
  (3) 병리 소견 
    - LM : Crescent GN
    - IF : GBM 자체에 대한 항체이므로 군데군데 침착되는 것이 아니라 GBM을 따라 "linear" 하게 
    - EM : 전자 고밀도 침착 X 

  * Crescent GN classification
    - Anti-GBM antibody disease
    - 사구체 내에 면역 글로불린 침착이 거의 X : Idiopathic pauci-immune disease ± ANCA
    - 사구체 내에 면역 글로불린 침착 O : Type II MPGN, IgA nephropathy, MN \




3) Systemic vasculitis 

  • Medium sized vessel 
  (1) Polyarteritis nodosa 

  (1) 병인 : 소동맥 / 중형동맥에  발생하는 괴사성 혈관염. 신 병변은 주로 혈관염에 의한 혈전, 경색이므로 사구체 병변은 주로 ischemic collapse 및 obsolescence이다. 
 (2) 증상 : 혈뇨, 단백뇨, 혈관 경색에 따른 고혈압, 신부전 
 (3) 진단 : 혈관 조영술 및 병변부위의 조직검사 



  • Small sized vessel
  (1) Wegener's granulomatosis : cANCA 

  (1) 병인 : 코, 폐, 신장 내의 혈관을 침범하는 자가 면역 질환으로, sinusitis, upper respiratory tract의 침범과 함께 focal segmental necrotizing GN 등이 나타난다. 

  (2) 증상 : 약 85%의 환자에서 신 침범이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혈뇨, 단백뇨, 고혈압 등을 동반한 RPGN의 형태로 발현하는 경우가 많다. 
    - Fever, sputum
    - 입천장이 뚫림 ! (sinusitis) 
    - Lung abscess
    - Lung biopsy 상 granuloma 관찰 
  (3) 치료 : Corticosteroid & cyclophosphamide 

  (2) Microscopic polyarteritis :pANCA 

: 신장에서는 수입 및 수출 세동맥, 모세혈관을 침범하여 PAN 보다 현저하게 손상이 나타난다. 임상적으로 RPGN으로 발현을 많이 하고 조직검사 상 약 80%의 환자에서 pANCA가 관찰된다. 

  (3) Churg-strauss syndrome : pANCA 

: MPA와 흡사하나, 폐동맥의 침범 빈도가 높고, 혈중 호산구 증가에 따르는 호산구 침윤, 기관지 천식 등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4) HS - purpura  

  (1) 증상 : palpable purpura, arthralgia, abdominal pain, glomerulonephritis
  (2) 진단 
    - Skin biopsy : leukocytoclastic vasculitis
    - Renal biopsy : IgA nephropathy
  (3) 치료 : no specific 

4) Rheumatoid arthritis

: 혈관염 / gold, penicilamine 등의 사용 / 장기간 투병 중 AA amyloidosis / 진통제 사용에 의한 renal papillary necrosis.. 

5) Sjogren's syndrome

  (1) 병인 : 눈물샘과 침샘에 대한 자가면역 질환으로 안구 건조증과 xerostomia가 발생한다. Vaginal gland 등에서 문제가 생겨 성생활에 문제가 생기며 침이 나오지 않아 충치가 발생하기도 쉽다. 
  (2) 신장 병변 : 간질성 신염이 가장 흔하다. 
  (3) 진단 
    - SSA/Ro & SSB/La
    - Schirmer's test
    - Lip biopsy : 확진 방법

2. 대사성 질환 

1) Diabetic nephropahty

  (1) 역학 : 당뇨 환자의 약 40%에서 발생. 그 중 type II가 90%이다. 
  (2) 임상 경과 : 가장 먼저 glomerular hypertension & hyperfiltration → 5년 이상 지속 시 microalbuminuria (30~300) → 그 후 5~10년 경과 Proteinuria 발생 + 고혈압 까지 동반 → 2~5년 이내에 ESRD로 진행
  * 즉, 당뇨 있는데 단백뇨 나온지 3년 밖에 안 됐다 ? → 다른 사구체 질환을 의심 ! 
  * Microalbuminuria : 6개월 간격으로 3번 검사하여 2번 이상 15ug/min or 30mg/day 이상의 요 알부민 
  (3) 진단 : 일반적으로 신 조직 검사는 X 
    - 당뇨 병력 10년 이내
    - 당뇨병성 망막증 X (type II에서는 90%, type I에서는 60%에서 같이 생김)
    - 갑작스런 심한 단백뇨
    - 육안적 혈뇨 / RBC cast 동반하는 지속적인 혈뇨 
    → 이런 경우에는 신 조직 검사를 해야한다 !! 
  (4) 병리 소견 : 초기에는 GBM thickening + Loss of negative charged heparan sulfate + Mesangial expansion → Glomerulosclerosis 로 진행 
    - Diffuse glomerulosclerosis : 가장 흔하다 ! 


    - Nodular glomerulosclerosis / kimmelstiel-wilson's disease : 당뇨병성 신병증에 특이적 
    - Arterionephroscleoris 
    - Chronic interstitial nephritis 
    - Papillary necrosis 등.. 
  (5) 치료 
    - 당 조절 
    - Microalbuminuria 있으면 125/75 미만, 단백뇨 있으면 130/80 미만
    - RAAS inhibitor 
  (6) 경과 중 유의할 점 
    - Hyperkalemia : Type IV renal tubular acidosis / RAAS inhibitor 
    - Radiocontrast-induced nephrotoxicity
    - Papillary necrosis 

3. 감염성 질환 

1)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1) 역학 : 7~8세, 10대 초반에 자주 발병. 주로 pharyngitis / skin infection 이후 1~2주 후에 edema와 함께 내원. 
  (2) 임상 증상 : Creatinine 상승하면서 혈뇨, 단백뇨가 많이 나오겠지. 임상적 증상이 특이하기 때문에 biopsy는 거의 하지 않는다. C4 정상, C3가 특징적으로 많이 감소되어 있다.
  (3) 병리 소견 
    - LM : Mesangial /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이 관찰된다 ! 
    - IF : IgG가 염색 
    - EM : Subepithelial deposit + hump 

  

2) Bacterial endocarditis

: 신장에서 flea-bitten appearance가 보이는, subcapsular hemorrhage가 나타난다. 

3) Hepatitis B and C

  (1) Hepatitis B : 주로 MPGN이 동반되며 aggressive하진 않다. 드물게 polyarteritis nodosa가 동반되며 신혈관에 aneurysm 이 많이 생긴다. 
  (2) Hepatitis C : 주로 MPGN이 동반되며, 굉장히 드물지만 C형 간염에 특이적으로 mixed cryoglobulinemia가 동반된다. 온도가 떨어지면 침착되는 globulin이 많은 질환으로, IgG 항체가 생기며 이 항체에 대해 IgM 항체가 생기는 질환이다. 그에 따라 IgM 항체가 침착되며 raynaud's phenomenon과 함께 C3 감소가 일어난다 ! 

4) HIV

: 주로 FSGS가 많이 생긴다 ! HIV 감염에서는 특히 FSGS 중 collapsing glomerulopathy 가 나타남. 가장 예후가 안 좋은 형태의 FSGS이다. 

4. 암과 연관되어 

1) Solid tumors

: Paraneoplastic하게, Membranous nephropathy가 가장 연관이 많다 ! 골수에 문제가 있는 경우 (특히 hodgkin's lymphoma) minimal change disease, 신장암의 경우 IgA nephropathy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2) Lymphoid malignancies 

5. 사구체-혈관 질환

1) Hypertensive nephrosclerosis 

  (1) 고혈압의 경우 신장과 눈에서 microvascular complication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ESRD의 20~30%가 고혈압에 의해서 발생한다
  (2) Risk factors 
    - 나이 
    - 남자
    - 흑인
    - 흡연력
    - 고콜레스테롤혈증
    - 유병기간
    - 낮은 출생 몸무게 
    - 정상적으로 40세에는 10%의 사구체가 sclerotic하고, 60세에는 20%, 80세는 30%이다. 
  (3) 증상 : Moderate proteinuria 말고는 없다고 보면 된다. 단백뇨가 심할수록 혈관 손상이 심하다는 뜻이다.
  (4) 병리 소견 
    - Extensive global sclerosis
    - Tubulointerstitial fibrosis : 사구체와 세뇨관이 단면 상 서로 떨어져있다 !! 
    - 혈관 : Intimal fibrosis, medial hypertrophy, arteriolar hyaline deposits 

    - Malignant hypertension : Onion-skinning appearance로 intimal proliferation이 관찰됨. Interlobular & large vessel에서 sclerosis 보다는 fibrinoid necrosis가 나타난다. 

2) Cholesterol emboli

  (1) 임상 증상 : Livedo reticularis, toe necrosis 
  (2) 병리 소견 : Cleft-like spaces (원래 cholesterol 있던 자린데 빠진 자리)

3) Thrombotic microangiopathies

  (1) Hemolytic uremic syndrome

: 병리소견으로 fibrin thrombus 정도 

  (2)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4)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6. 사구체 침착 질환 

1) Crystal : Cast nephropathy

: Multiple myeloma 같은 병에서 plasma cell이 monoclonal antibody를 많이 만들며 그에 따라 tubule을 막게 됨 

2) Fibrillary : Amyloidosis

  (1) AL amyloidosis

  (1) 아밀로이드증이란? : 다양한 단백질이 fibril을 이루어 세포외 조직에 침착되는 질병군. Alpha-helix 보다는 protease에 저항성을 띄는 beta-pleated sheet의 형태로 침착이 된다.
  (2) AL / AA : AA는 현재 몸에서 일어나고 있는 면역반응에 대해 생성되는 acute phase reactant protein가 원인이고, AL은 백혈병 / multiple myeloma 등에서 쓸 데 없이 만들어내는 많은 antibody가 콩팥에 침착이 된다. 
  (3) 병리소견 
    - LM : 세포가 없는 호산구성 물질이 많이 보이고, lobule의 모양들이 많이 깨져보인다.
    - Congo red staining을 하고, 편광 현미경을 하면 apple-green birefringence로 보인다 ! 
    - AL light chain 염색 시, lambda >> kappa light chain 
    - 전자현미경 상에서 방향성 없이 배열된 8~10nm의 fibril들이 보인다.

  (2) Fibrillary

  (3) Immunotactoid 


3) Fine granular : Light chain deposit disease 

  (1) LM : Nodular appearance. DM nephropathy와 LM만 가지고는 구분이 안 된다. 
  (2) AL 과 다르게 kappa light chain이 beta sheet의 형태도 아니게 통째로 침착된다. 
  (3) Fibrin을 형성하지 않고 amorphos하게 쩜쩜쩜 (granular) 침착된다. 

7. 유전성 질환 

1) Thin basement membrane disease (COL4A3 / COL4A4) 

: 상당히 흔하며, 단백뇨나 고혈압은 없다. Benign하게 가족들이 다 혈뇨를 보이지만, 콩팥의 병이 진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따로 치료는 하지 않는다. 

2) Alport's syndrome (X-linked, COL4A5) 

: 이건 TBM 보다 심각하다. GBM이 두꺼워졌다 얇아졌다 하고 splitting 까지 일어나면서, mild proteinuria를 보인다. 주로 눈, 귀 등의 sensorineural deafness 같은 증상을 가족력으로 지닌다. 
  * Anterior lenticonus 

3) Fabry's disease (X-linked, a-galactosidase A activity의 부족) 

  (1) 임상 증상
    - Podocyte에 분해가 안 된 glycolipid의 침착이 일어난다. 
    - Acroparesthesia : 심한 복통, burning pain
    - Angiokeratoma : Reddish-purple macules 
    - 땀이 적게나는 등.. 
  (2) 병리 소견 
    - EM : Lamellar osmophlic inclusions (zebra bodies)